본문 바로가기
한의약 테마/한약 및 약재에 대하여

강활(羌活)과 독활(獨活)의 비교

by 러닝앤허브 2025. 2. 17.
반응형

일전에 블로그에서 맥문동(麥門冬)천문동(天門冬)을 비교했던 글이 있었는데, 비슷한 내용의 컨텐츠가 없냐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생각 외로 개별 한약재에 대한 궁금증의 수요가 많다는 것을 알게되어 새로운 글을 작성하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강활(羌活)독활(獨活)이라는 한약재를 비교하여 설명하려 합니다.

 

한방에서는 여러가지 병증이 있는데 그 중 풍증(風證)이라는 병증이 있습니다. 풍증에 대해 아주 간략하게 요약하자면 인체에 병을 일으키는 외부 요인인 풍사(風邪)가 몸에 침입하거나, 체내의 음혈(陰血)이 과하게 소모되어 열이 발생했을 때 일어나는 병증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풍증(風證)을 치료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한약재가 강활(羌活) 독활(獨活) 입니다. 하지만 같은 병증을 치료하는 약재이더라도 차이점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약재는 함께 쓰이기도 하지만 따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강활(羌活) 독활(獨活)이 들어간 대표적인 한방 처방으로 두 가지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우선 목이나 어깨가 결리거나 감기로 인한 두통이 있을 경우에 쓰는 한방 처방인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 관절이 아프거나 하반신에 통증이 있을 때 쓰는 독활기생탕(獨活寄生湯)이 대표적인 예시 처방입니다.

(1)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
약재구성 : 강활독활, 방풍, 감초, 고본, 만형자, 천궁
(2) 독활기생탕(獨活寄生湯)
약재구성 : 독활, 당귀, 백작약, 상기생, 두충, 방풍, 백복령, 세신, 숙지황, 우슬, 육계(계피), 인삼, 진교, 천궁, 감초

 

처방 구성을 보면 알 수 있듯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에는 강활(羌活) 독활(獨活) 모두가 포함되어있지만, 독활기생탕(獨活寄生湯)에는 독활(獨活)만 들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강활(羌活) 독활(獨活) 모두를 한 번에 쓰면 좋을텐데 이러한 차이가 생기는 이유는 약재별 특성때문이라 볼 수 있습니다.

 



강활(羌活)
학명 : Ostericum koreanum
약용부위 : 뿌리
이명 : 강호리, 호강사자


독활(獨活)
학명 : Aralia cordata var. continentalis
약용부위 : 뿌리
이명 : 땃두릅

 

두 가지 약재는 이름도 비슷하고, 풍증(風證)에 사용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본초학에서는 분류부터 다르게 봅니다. 본초학 문헌에 따르면  강활(羌活)발산풍한약(發散風寒藥)으로 분류되며, 독활(獨活)거풍습지비통약(祛風濕止痺痛藥)으로 분류됩니다. 분류명을 보면 알 수 있듯 똑같이 ()이라는 한자가 들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두 약재는 공통점도 있지만 차이점도 분명하다는 점도 유추할 수 있습니다.

 

강활(羌活)과 독활(獨活)의 공통점과 차이점

 

강활(羌活) 독활(獨活)은 한방에서 주로  풍사(風邪)로 인해 발생하는 풍증(風證)을 치료하는데 쓰인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강활(羌活)은 한의학에서 방광경(膀胱經)에 작용하는 약재로 알려져 있으며, 독활(獨活)신경(腎經)에 작용하는 약재로 알려져 있습니다. 경혈학 관점으로 본다면 각 경혈에 해당하는 부위에 작용하는 것을 상세하게 볼 수 있지만 두 약재만의 관점으로 비교했을 때 강활(羌活)유풍(游風; 주로 피부에 염증이 생기는 풍증)을 주로 치료하고 독활(獨活)복풍(伏風; 주로 근육과 관절에 염증이 생기는 풍증)을 치료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를 더 간략하게 요약하면 강활(羌活)풍사(風邪)가 체내에 가볍게 칩입한 표증(表證)을 주로 치료하며, 독활(獨活)풍사(風邪)가 체내에 깊숙하게 침입한 리증(裏證)을 치료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과거에 한약사 국가시험 준비 중 본초학 과목을 공부했을 때 정리했던 요약집을 전자책으로 집필하여 플랫폼에 업로드 하였습니다. 현재 기고한 내용도 과거 공부 내용을 되짚어보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한약사 국가시험이나 과목 공부 혹은 본초(한약재) 자체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아래의 링크로 들어오셔서 요약집을 참고하셔도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집니다. 당시 1000페이지가 넘었던 본초학 교재와 정리 내용 중 자주 언급되는 약재들 위주로 정리하여 총 36페이지로 요약한 내용입니다!

 

https://kmong.com/self-marketing/566419/60pDjcByQj

 

한약사 국가고시 책보다 가볍고 알찬 본초학 요약집 - 크몽

HerbPharma 전문가의 자료·템플릿 서비스를 만나보세요. <p>안녕하세요! 한약사 HerbPharma입니다.</p><p&...

kmong.com

 

 

맥문동(麥門冬)과 천문동(天門冬)의 차이점

처방전에 기입된 다양한 한약재들을 접하다보면 이름이 비슷한 한약재들을 자주 봅니다. 하지만 이름이 유사하더라도 한약재 본연의 성질이나 모양은 비슷한 경우는 매우 드뭅

johanjuns.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