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의약 테마/한약 및 약재에 대하여

위식도역류질환(GE)과 반하사심탕, 제산제 병용 시 효과

by 러닝앤허브 2024. 5. 15.
반응형

위식도역류질환(GERD)은 위에서 소장으로 이어지는 식도에 위액이 역류하는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가슴 통증, 식도염, 기침 등 다양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위식도역류질환의 치료에 한약과 제산제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내용을 다루어 보려고 합니다.

이미지 출처 : https://step1.medbullets.com/gastrointestinal/110076/h2-blockers

 

1. 기존 정석적인 치료방법과 한계점

보통 위식도역류질환을 치료할 때에는 다양한 약제를 사용하는데 이 방법은 매우 효과적입니다. 위식도 역류 질환을 치료하는데에는 제산제를 사용하는데, 특히 PPI(Proton Pump Inhibitor)제제를 사용하곤 합니다. PPI의 경우는 다른 제산제와 달리 위산이 분비되는 마지막 단계의 기작을 비가역적으로 억제하기 때문에 매우 강력한 제산제로써 실제로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에 많이 사용됩니다. 

그렇다면 한계점은 무엇일까요? 물론 약의 효과가 낮다는 것은 아니지만 PPI는 강력한 약효로 인해 전문가의 진단을 통해 복용이 가능한 '전문의약품'이라는 점입니다. 즉, 처방전 없이는 일반인이 복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은 약입니다.

 

2. 일반의약품에 속하는 반하사심탕, 제산제 이용한 대안책 

그렇다면 '일반의약품'으로 구할 수 있는 다른 제산제와 '반하사심탕'을 함께 사용하면 어떠할까요? PPI보다는 약하게 작용하는 제산제일지라도, 반하사심탕과 함께 사용한다면 더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제산제(H2 Blocker; 파모티딘제제) 제품 사진

- 제산제의 역할 -

'일반의약품'으로 구매가 가능한 제산제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지만, PPI와 유사한 원리의 제산제를 고른다면 H2 Blocker가 있습니다. PPI처럼 위산이 분비되는 마지막 단계에 작용하지는 않지만 위산이 분비되는 초기 단계(H2 receptor 억제)에 작용하여 위산의 분비를 억제시킬 수 있습니다. 다만, 위산이 분비되는 초기 단계에는 작용하는 요소가 많아 한계가 있다는 점이 사소한 문제입니다.
다시 제산제의 역할을 살펴보면 위산을 억제하여 위식도역류증상을 완화시켜 줍니다. 위산이 과도하게 분비되면 위와 식도의 점막을 손상시키고, 염증을 유발하는데, 제산제를 사용하면 위산의 분비를 줄여 위와 식도의 점막을 보호하고, 염증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반하사심탕 액상제제 제품 사진

- 한약의 역할 : 반하사심탕 -

문헌을 살펴보면 반하사심탕은 위식도역류질환의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습니다. 한방 원리에 따르면 반하사심탕은 체내의 열을 제거하고, 기운을 회복시키며, 위를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위액의 역류를 억제하고, 위와 식도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문헌의 내용만으로는 반하사심탕의 효과를 완전히 이해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현대적인 연구에 따르면 반하사심탕은 위산분비조절 외에도 하부식도조임근의 수축을 조절하여 위식도역류질환을 완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하부식도조임근의 수축이 풀리는 것을 억제하여 위산이 역으로 억제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막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위산 조절 기작도 H2 Blocker와 다르게 Ghrelin이라는 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하여 위산 분비를 줄일 수 있기에 기작이 중복되는 부분도 피할 수 있어 더 효과적인 제산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半夏瀉心湯은 ghrelin, substance P의 감소를 통한 위꿈틀운동 조절 및 위산 분비 억제와 iNOS의 감소를 통한 하부식도조임근 수축 조절을 함으로써 초기 역류성 식도염 유발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장명웅, 임성우.(2013). 역류성 식도염 유발 생쥐의 半夏瀉心湯 투여 효과에 대한 실험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34(4), 362-374.

 

- 생활 습관의 개선 -

위식도역류질환의 치료에는 생활 습관의 개선도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과식을 피하고, 천천히 식사하는 것 그리고 식사 후 2~3시간 동안 눕지 않는 것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달고 기름진 음식은 하부식도괄약근의 수축을 약화시키기 때문에 식단도 신경쓰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러한 생활 습관의 개선은 한약과 제산제의 치료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습니다.

 

3. 결론 : 한약과 제산제의 병행 치료

즉, 반하사심탕과 제산제를 병행하여 사용한다면 위식도역류질환의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반하사심탕과 H2 Blocker 제산제는 약국에서도 '일반의약품'으로 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에 병원에 방문하는 수고를 덜 수 있습니다. 다만, PPI를 이용한 근본적인 치료 방법은 매우 효과적이기 때문에 중증의 질환자나 시간적인 여유가 있다면 소화기내과를 방문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한약사 국가시험 준비 중 정리했던 요약집을 전자책으로 집필하여 플랫폼에 업로드 하였습니다. 한약사 국가시험(국가고시)이나 학과공부 혹은 본초(한약재), 천연물 화학성분 등에 관심이 많으시다면, 아래의 링크에서 요약집들을 참고하셔도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집니다.  본초학은 1000페이지에 달하던 교재를 교수님의 강의내용과 조합하여 36페이지로 요약하였으며, 천연물화학은 총론의 각종 합성경로와 각론의 천연물 화학성분을 밀도있게 요약하였습니다.

 

https://kmong.com/self-marketing/566419/60pDjcByQj

 

한약사 국가고시 책보다 가볍고 알찬 본초학 요약집 - 크몽

HerbPharma 전문가의 자료·템플릿 서비스를 만나보세요. <p>안녕하세요! 한약사 HerbPharma입니다.</p><p&...

kmong.com

https://kmong.com/self-marketing/574047/lMVnSPwZcV

 

한약사 국가고시 핵심만 추려낸 천연물화학 요약집 - 크몽

HerbPharma 전문가의 자료·템플릿 서비스를 만나보세요. <p>안녕하세요! 한약사 HerbPharma입니다.</p><p&...

kmong.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