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의약 테마/한약 및 약재에 대하여

산후 보약에 관하여 : 종류와 효과 그리고 복용시기

by 러닝앤허브 2024. 5. 23.
반응형

우리나라는 산후조리원 시스템도 잘 갖춰져있지만 산후조리원을 나온 이후에도 온전치 않은 체력을 회복하기 위해 주변에서 이런 저런 정보를 직접 찾으며 노력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그래서인지 제 주변에서도 산후보약에 관한 문의가 많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산후보약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 합니다. 간략하게 요약하면 효과적인 산후보약 처방의 종류는 세 가지가 있는데 각각 시기에 맞춰 알맞게 복용한다면 더 좋은 약효를 기대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아이와 산모를 위해 올바른 산후조리는 꼭 필요합니다!

 

1. 출산 직후부터 2주 이내 : 생화탕

이 시기에 복용하는 산후보약은 자궁에 남아있는 오로와 태반 찌꺼기, 어혈을 잘 배출시키고 자궁수축이 잘 이뤄지도록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보혈효능과 오로배출, 자궁수축 기능, 붓기감소 효과가 있는 한약 처방인 생화탕을 복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생화탕(生化湯)은 출산 이후 오로 배출에 어려움이 있거나, 자궁 수축 문제로 인해 복통이 심할 때 효과가 있는 처방입니다. 생화탕은 오로와 태반 찌꺼기 배출을 돕고 원활한 자궁 수축을 도와 자궁의 회복을 돕는데, 산후에 출혈이 멈추지 않을 때에도 효과가 좋은 처방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Saenghwa-tang has benefit for treating prolonged lochia and uterine subinvolution."
송지윤, 김동철. 산후 오로부절 및 자궁 복구 불완전에 대한 생화탕(生化湯) 치료의 효과 :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23; 36(4):121-139.

 

2. 출산 후 2주부터 1달 이내 : 보허탕

출산 후 약 2주 후부터는 '산후풍'을 치료하거나 예방해주는 한약을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출산 후에는 전신의 관절들이 많이 약해져 있기 때문에 육아나 무리한 활동을 병행할 경우 손목이나 손가락, 발목, 허리, 무릎, 골반 등 전신 관절에 통증이 나타나는 '산후풍'으로 고생하기 쉽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보허탕(補虛湯)은 이러한 '산후풍'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한약 처방입니다. 실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보허탕을 복용한 산모는 그렇지 않은 산모에 비해 혈중 백혈구 수치와 적혈구 수치에서 유의미한 감소량을 보였습니다. 즉, 보허탕이 산후풍에 의한 염증을 회복시키고 동시에 지혈효과도 있어 산후 출혈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박소월 등. 補虛湯과 生化湯의 산후회복효과에 대한 비교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2):118-28
김누리, 이은희. 산후병 및 산후관리에 대한 국내 한의학 임상 연구 동향 분석. 2022; 35(1), 34-58

 

3. 출산 후 1달 이후 : 궁귀조혈음

이 시기에는 산후조리를 마무리하는 과정으로 기혈을 보강해주고 체력을 증진할 수 있는 한약을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부류의 한약은 보통 출산 후 한달의 기간이 지난 뒤에 복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평소 허약했거나 임신과 출산으로 기력이 많이 떨어진 산모는 이러한 한약 복용을 통해 체력보강 및 면역력을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특히 궁귀조혈음(芎歸調血飮) 처방은 산후 기혈을 보하고 체력을 늘리는 효능도 있지만 이밖에도 산후우울증 예방, 유즙분비촉진(모유량증가)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추천하는 처방이기도 합니다.

 

"Xiong-gui-tiao-xue-yin (Kyuki-chouketsu-in)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women in the postpartum period and prevent maternity blues."

- "궁귀조혈음은 산후 여성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고, 산후우울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습니다."
Ushiroyama T, Sakuma K, Ueki M. Efficacy of the kampo medicine xiong-gui-tiao-xue-yin (kyuki-chouketsu-in),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in the treatment of maternity blues syndrome in the postpartum period. Am J Chin Med. 2005;33(1):117-26.
"The results of our study demonstrate the beneficial effects of Xiong-gui-tiao-xue-yin on lactation, with increase in prolactin level without increase in oxytocin level in the postpartum period. Therefore, Xiong-gui-tiao-xue-yin can be expected to improve lactation in women in the postpartum period."

- "연구 결과에 따르면 궁귀조혈음은 산후 기간에 옥시토신 수치의 증가 없이 프로락틴의 수치를 높이며 수유에 유익한 효과를 부여합니다. 따라서 궁귀조혈음에는 산후 기간 여성의 수유 개선 효능이 있을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Ushiroyama T, Sakuma K, Souen H, Nakai G, Morishima S, Yamashita Y, Kamegai H. Xiong-gui-tiao-xue-yin (Kyuki-chouketsu-in),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stimulates lactation with increase in secretion of prolactin but not oxytocin in the postpartum period. Am J Chin Med. 2007;35(2):195-202.

 

4. 결론 

산후보약으로 추천할만한 처방으로는 생화탕(生化湯), 보허탕(補虛湯) , 궁귀조혈음(芎歸調血飮) 이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처방들도 약효를 높이기 위해서는 적합한 시기에 맞춰서 복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습니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한약 복용을 위해 전문가와의 상담은 필수!


추가로 앞서 언급한 한약 처방들은 산모의 체질과 건강 상태, 증상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처방되므로, 개인의 상태에 따라 복용 시기나 방법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의사 및 한약사와 상의하여 복용 시기와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